2009. 7. 13. 10:58

터치폰에 대한 단상

아이폰이 나오고 이를 모방한 터치폰이 속속들이 출시되면서, UX란 단어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다. UX라는 용어를 단순히 '인터페이스'에만 한정한다면 이는 펩시 챌린지와 마찬가지로 일시적인 유행만을 가져올 뿐이다. 이러한 UX가 다양한 서비스와 편의성의 관점에서 '전화를 걸고 주소록을 저장하는' 기존의 본질가치를 압도하는 시점이 도래해야 터치폰이 캐즘을 넘어설 수 있을 것이다.

최근 LG 아레나를 마지막으로, 다시 일반 단말로 돌아왔다. 터치폰의 화려한 UI는 처음에는 달콤하지만 참신함이 사라지고 나면 잦은 입력 오류와 반응 속도와 같은 단점이 눈에 들어온다. 그리고 '전화 걸고' '번호 찾는' 기능이 편리한 예전을 그리워하게 된다.

하지만 터치폰은 필연적으로 '넓은 화면'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동영상이나 DMB, 문서, 웹브라우징을 편리하게 한다. 그리고 이런 행위는 개방성 - 데이터를 쉽게 옮기고, 표준 포맷을 지원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운용을 쉽게 해주슨 -을 요한다.
즉, 터치폰이 플랫폼의 개방성과 확장성을 만나면서, 내부적으로 편의성을 보다 높이려는 노력을 경주한다면, 어느 순간 휴대폰의 기본 프레임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그건 아이폰 도입, WM의 급속한 개선, 안드로이드의 확산 등등 다양한 요인으로 가속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전제는, UI가 좀더 편리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터치폰에서 통화하는 중에 의도치않게 전화가 끊어지거나, ARS에서 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조작을 해본 이들은 공감할 수 있으리라 본다. 부가 기능은 터치폰이 주류가 되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통화와 관련된 기능은 필요충분조건이다.